칼럼
영웅은 법적 지식을 공유하여 고객님들께 한걸음 더 다가갑니다.
[이혼칼럼] 상간자소송방어 목표는 감액이 아닌, 기각입니다
상간자로 지목되어 소장을 받으셨다면, 아마 머릿속에는 ‘위자료를 얼마나 줄일 수 있을까’라는 생각만 가득할 겁니다.
하지만 잠깐만요. 만약 선생님이 정말 억울한 상황이라면?
목표는 ‘감액’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기각이 되어야죠.
소장을 받게 된 상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계신다면, 지금부터 집중해 주세요.
선생님 입장에서 손해 없이, 현명하게 대응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기각’ 판결을 이끌어내는 2가지 핵심 경로
위자료를 한 푼도 주지 않는 ‘기각’ 판결은, 법원이 선생님의 손을 완전히 들어주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오직 다음 두 가지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1. 부정행위 자체가 없었을 경우
원고가 제출한 증거가 명백한 오해이거나(ex. 여러 명이 함께한 술자리 사진), 그 증거만으로는 두 사람의 관계를 부적절하다고 단정할 수 없을 때입니다.
2. 상대가 기혼자임을 ‘정말 몰랐을’ 경우
실제 사건에서 기각을 이끌어내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단순히 ‘몰랐다’고 주장하는 것을 넘어, ‘몰랐던 것에 과실이 없다’, 즉 속을 수밖에 없었던 객관적인 상황을 입증해야 합니다.
이것이 성공적인 상간자소송방어의 핵심이죠.
그렇다면, 이 몰랐다는 것을 어떻게 입증해야 할까요?
해당 내용에 대해, 아래에 이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몰랐다’는 주장을 판사가 ‘믿게’ 만드는 증거의 힘
법정에서 “정말 몰랐습니다”라고 외치는 것은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판사가 “아, 이 상황이라면 정말 속을 수밖에 없었겠구나”라고 인정할 만한 구체적인 증거로 설득해야 하죠.
✔ 상대방의 적극적인 기망 행위: 상대방이 ‘이혼했다’며 위조된 서류를 보여주었거나, ‘사별했다’고 거짓말을 한 정황
✔ 객관적으로 믿을 수밖에 없었던 상황: SNS에 혼자 사는 모습만 올리고, 주말이나 명절에도 자유롭게 연락이 되었으며, 그의 친구들조차 그를 미혼이라고 소개한 경우
이처럼 ‘속을 수밖에 없었던 정황’들을 촘촘히 엮어, 선생님의 억울함과 무고함을 법정에서 증명해야 합니다.
선생님이 사소하게 여겼던 대화 한 조각, 메시지 하나가 상간소송기각 포인트’가 될 수 있다는 걸 명심하세요.
모든 사건의 시작은 ‘소장 검토’로부터
성공적인 상간자소송방어는 상대방의 주장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원고가 어떤 증거를 가지고 있는지, 주장의 논리적 허점은 무엇인지 등.
이 모든 것을 정확히 파악해야 그에 맞는 최적의 상간자소송방어 전략, 나아가 기각 전략까지 세울 수 있으니까요.
억울하게 상간소송피고가 되셨습니까? 그렇다면 선생님의 목표는 상간위자료감액이 아닙니다.
저희 영웅의 여러 해결 사례처럼, 선생님의 무고함을 입증하고 모든 것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기각이 되어야 합니다.
선생님이 받은 그 소장, 제가 먼저 상간소송방어를 위해 검토하고 그 1%의 가능성을 찾아내겠습니다.
그리고 그 가능성을 100%의 현실로 만들기 위해 모든 노하우를 쏟아붓겠습니다.
늦기 전에 연락해 주십시오.
혹시 모를 기각에 대한 1% 가능성
그것을 현실로 만들어드리겠습니다.
↓